
뉴스투게더 김인숙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함께 성균관대학교 '인공지능 반도체 혁신연구소' 개소식을 11월 18일 11시에 성균관대 자연 과학 캠퍼스 반도체 관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성균관대 자연 과학 캠퍼스 권영욱 부총장,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이상현 교수(AI반도체 혁신연구소장) 등 성균관대 교직원 및 대학원생과 함께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홍진배 원장,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계 관계자 등 60여 명이 참석하여 '성균관대 인공지능(AI) 반도체 혁신연구소' 개소를 축하하고 앞으로 동 연구소에서 역량을 키워갈 참여 학생의 소감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과기정통부는 인공지능 경쟁의 핵심 기반인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을 이끌어갈 석·박사급 혁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계 및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역량 제고에 특화된 인공지능(AI) 반도체대학원(3개교), 첨단연구과제(첨단 연구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대학 정보통신기술연구센터(대학 ICT 연구센터)(인공지능'AI' 반도체 6개 센터), 기업과 대학이 공동으로 설계한 석·박사생 대상의 연구·교육(AI반도체, 2개 과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연구, 학생 파견 교육, 해외석학 및 연구팀 유치 등을 통한 국내 석·박사생의 세계적(글로벌) 역량 배양 및 협력 관계망(네트워크) 확대도 지원하고 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혁신연구소'는 올해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으로 인공지능 반도체 분야 국내 기업과 대학의 역량을 결집한 산·학 협력을 중심으로 산업 현장에 기반한 연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산업계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실전형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수행대학으로 2개교를 선정(성균관대·연세대)하여 지원 중이며, 과제당 연 20억 원(1차 연도 10억 원) 규모의 예산을 최장 6년(3+3)간 지원함으로써 매년 20명(2025년(7~12월)은 10명)씩 총 110명 이상의 석·박사급 혁신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이번 개소식은 지난 9월 17일 연세대 혁신연구소에 이은 두 번째 개소식 행사로 성균관대 혁신연구소는 산업계 경력 7년 이상의 대학 연구책임자가 소장으로 운영을 총괄하고 내장형(온디바이스) 인공지능 반도체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 기술 개발 및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하에 신경망 처리 장치 핵심(NPU 코어), 신경망 처리 장치 기반 시설(NPU 인프라), 물리 인공지능(피지컬 AI), 인공지능 컴퓨팅 이음터(플랫폼) 등 4개 연구센터를 구성했다.
각 센터는 ㈜모빌린트, 오픈엣지테크놀로지㈜, ㈜보스반도체, 삼성전자㈜가 협력기업으로 참여하여 연구진, 협력기업 재직자, 석·박사생들이 함께 연구 주제에 따른 산·학 협력 연구를 수행하고 학생 대상의 기술교육 및 기업 파견·연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성균관대 혁신연구소는 인공지능 이론에서부터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최적화까지를 아우르는 다학제 융합형 연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인공지능 모형 경량화, 내장형 인공지능(온디바이스 AI) 최적화, 신경망 처리 장치(NPU) 고도화 등에서 특화된 설계 및 연구개발 역량을 갖춘 혁신 인재를 양성하고 협력기업으로의 취업 연계 등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고성능·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 경쟁을 주도해 나가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기업과 대학의 연구개발 역량을 총결집해야 한다”라며, “성균관대 인공지능 반도체 혁신연구소가 혁신 인재 양성의 요람이자 첨단 기술 개발의 거점(허브)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