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게더 편집국 | 박현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예술융합학과 전임교수) 오늘날 예술은 더 이상 일부 전문가의 영역이 아닙니다. 연령, 장애, 문화적 배경과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포용적 예술(Inclusive Arts)’이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창작의 문턱을 낮추고, 감정과 삶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이 예술적 접근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삶의 전환점이 되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효학연구』 Vol.41(2025)에 게재된 필자의 논문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제안」을 바탕으로, 포용적 예술의 개념과 실천 사례, 그리고 ‘효(孝)’와의 접점을 중심으로 한 예술융합의 방향성을 함께 조명해 보고자 합니다. 포용적 예술의 네 가지 원리 영국 예술교육학자 앨리스 폭스(Alice Fox)는 포용적 예술의 핵심 원리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합니다[1]. 1. 상호이익 (Mutual Benefit) 참여자들이 수혜자에 머물지 않고 서로에게 배움과 성장을 주는 관계를 형성합니다. 미술과 음악이 협력할 경우, 감각의 언어가 서로를 보완하며 참여자 개개인의 몰입과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2. 역량
2025-07-31 15:58
newstogether.kr
편집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