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예술융합학과의 박현희 교수가 9월 2일(화)부터 15일(월)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보다에서 개인전 《빛, 생명의 선율》을 개최한다. 박 교수는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꾸준히 학술논문을 발표하며 학제간 융합 실천을 병행해 온 교수-작가로, 학술·연구와 창작을 동시 병행하는 독보적 입지를 이번 전시에서 선명하게 드러낸다. 사운드 설치로 확장되는 이번 전시는 전통 한지의 물성과 조형성을 바탕으로 구축된 부조적 입체선을 통해, 빛–그림자, 존재–부재 사이의 감각적 경계를 탐사한다. 박현희의 백색미학(White Aesthetics)은 한지의 여백과 결, 빛의 반사·산란이 만들어내는 미세한 차이를 주목하며, 절제와 호흡, 시간의 누적을 통해 깊이를 드러내려는 태도다. 닥죽을 찢고·겹치고·얇게 도포하는 반복에서 솟아난 선은 단순한 윤곽이 아니라 시간·감정·기억의 궤적이 된다. 최상급 호분·천연 석채 위로 금·은·수정 분말을 초박막으로 올려 색채보다 빛의 레이어를 구축하고, 필요할 때 곡선적 색선을 은은히 중첩해 백색 여백 속 감각의 잔향을 남긴다. 핵심 설치작품 〈백색의 탑—빛 조각〉은 모듈 캔버스를 수직으로 적층해 상승의 리듬을 가시화한다. 바닥
 
								
				뉴스투게더 편집국 | 박현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예술융합학과 전임교수) 오늘날 예술은 더 이상 일부 전문가의 영역이 아닙니다. 연령, 장애, 문화적 배경과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포용적 예술(Inclusive Arts)’이 새로운 흐름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창작의 문턱을 낮추고, 감정과 삶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이 예술적 접근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삶의 전환점이 되는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효학연구』 Vol.41(2025)에 게재된 필자의 논문 「노인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국내외 사례 분석 및 제안」을 바탕으로, 포용적 예술의 개념과 실천 사례, 그리고 ‘효(孝)’와의 접점을 중심으로 한 예술융합의 방향성을 함께 조명해 보고자 합니다. 포용적 예술의 네 가지 원리 영국 예술교육학자 앨리스 폭스(Alice Fox)는 포용적 예술의 핵심 원리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합니다[1]. 1. 상호이익 (Mutual Benefit) 참여자들이 수혜자에 머물지 않고 서로에게 배움과 성장을 주는 관계를 형성합니다. 미술과 음악이 협력할 경우, 감각의 언어가 서로를 보완하며 참여자 개개인의 몰입과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2. 역량
 
												 
												 
												 
												 
												 
												 
												 
												 
												